Making User Managed Backups_Part III
Verifying User-Managed Backups
정기적으로 백업본이 복구에 사용할 수 있는지 점검해 주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러한 백업본이 정상적인지 점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Testing the Restore of Backups
백업본이 정상적인지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임시 데이터베이스에 백업본을 이용해 직접 복구작업을 수행해 보는 것 입니다. 이 방법은 복원 작업을 위한 별개의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합니다.
Using the DBVERIFY Utility
DBVERIFY 유틸리티는 오프라인 데이터파일에 대하여 물리적 데이터구조의 정합성을 확인하는 외부 유틸리티 입니다. 데이터에 문제가 생겨서 복원을 수행해야 할때 백업된 데이터본에 우선적으로 DBVERIFY 를 수행하여 백업된 데이터파일이 손상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DBVERIFY의 이름과 위치는 OS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UNIX에서 tbs_52.f 라는 파일을 검사하기 위해 dbv 명령을 다음과 같이 수행합니다.
% dbv file=tbs.52.f
dbv의 예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DBVERIFY : Release 9.2.0.0.0
(c) Copyright 2000 Oracle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DBVERIFY - Verification starting : FILE = tbs.52.f
DBVERIFY - Verification complete
Total Pages Examined : 250
Total Pages Proceessed (Data) : 4
Total Pages Failing (Data) : 0
Total Pages Processed (Index) : 15
Total Pages Failling (Index) : 0
Total Pages Processed (Other) : 29
Total Pages Empty : 202
Total Pages Marked Corrupt : 0
Total Pages Influx : 0
Making Logical Backups with Export
Export & Import 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파일을 넣고 빼는 유틸리티 입니다. Export 는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운영체제로 특정 바이너리 포맷으로 기록하는 유틸리티 입니다. Import 는 Export 파일을 읽어서 기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집어 넣는 유틸리티 입니다. Export와 Import 는 오라클 데이터를 옮기기 위해 디자인 되기는 했지만, 추가적인 백업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ing Export
Export 유틸리티는 데이터베이스가 오픈상태일때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백업할 수 있습니다.
* Export 가 수행중일때 누구도 데이터베이스에 변화를 주지 못하도록 하십시요. ALTER SYSTEM QUIESCE RESTRICTED 모드로 Export 를 수행하는 동안 데이터에 접근하여 변경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Using Import
Import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Export 파일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 이 유틸리티는 Export 유틸리티와 정 반대의 기능을 합니다.
Import 유틸리티로 Export 파일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 복원
1. 테이블 스페이스와 사용자를 포함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재생성 합니다. 재생성된 데이터베이스는 어떠한 객체도 소유하고 있지 않아야 합니다.
2. Export 파일을 Import 하여 가장 최근의 정상적이었던 데이터베이스 상황으로 복원합니다.
Export & Import 에 관한 자세한 사용 방법은 추후 포스팅 하겠습니다.
Making User-Managed Backups of Miscellaneous Oracle Files
초기화 파일과, 네트워크 환경설정 파일, 패스워드 파일 역시 항상 백업을 해 주어야 합니다. 미디어 실패로 인해 위 파일들을 잃게되면 원래의 환경으로 복구하는데 굉장한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데이터베이스와 서버 파라메터 파일은 백업을 했지만 네트워크 파일을 백업하지 않았다면 (예를들어 tnsnames.ora 혹은 listener.ora 파일) 데이터베이스는 복원과 복구를 수행할 수 있지만 네트워크 파일을 만들어 주기 전까지는 Oracle Net을 통하여 사용자를 인증할 수 없게 됩니다.
일반적인 규칙으로 이러한 기타 오라클 파일들이 변화되었다면 반드시 백업을 하도록 권장합니다. 예를들어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게 하는 넷 서비스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추가하였다면 tnsname.ora 파일의 새로운 백업을 만들도록 하십시요.
오라클 파일들을 찾는 가장 쉬운 방법은 오라클 홈 디렉토리에서 시작하여 .ora 로 끝나는 파일을 반복적으로 찾는 것 입니다. UNIX를 예를들어 설명하면
% find $ORACLE_HOME -name "*.ora" -print
를 수행하면 됩니다. 환경설정 파일들을 백업하기 위해서는 Third_Party 유틸리티를 이용하도록 합니다. UNIX의 경우 cp 명령을 이용하여 tnsnames.ora 파일과 listener.ora 파일을 백업할 수 있습니다.
% cp $ORACLE_HOME/network/admin/tnsnames.ora /disk2/bkup/tnsname01-22-01.ora
% cp $ORACLE_HOME/network/admin/adminlistener.ora /disk2/bkup/listener01-22-01.ora
또한같은 방법으로 영체제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서버 파라메터 파일을 백업할 수 있습니다.
FIN.
REF) Oracle Document (Server. 920/a96572) Making User-Managed Backups
댓글 없음:
댓글 쓰기